역사 공부하기

[국사]백제왕조실록 간단정리

관악산☆ 2010. 2. 11. 13:20

우리의 삼국시대 역사기록은 "삼국사기"와 "삼국유사" 등에 남아있다. 

참고한 책에서는 "삼국사기"를 기본으로하여 "삼국유사" 중국의 "삼국지" "자치통감"

일본의 "일본서기" 등을 참고하여 백제왕조 역사를 추적하고 있다.

다음은 백제왕조 계보와 약사를 참고한 책 위주로 간단히 정리해본 것이다. 

 

▦ 백제왕조실록(百濟王朝實錄) 간단정리 ▦

 

온조왕 [溫祚王] - 시조. 46년(BC18~AC28년)

▷건국설화 - 온조는 고구려 건국시조인 주몽과 졸본부여 왕 둘째왕녀 사이에 태어난 차남 이다.(또는 북부여왕 해부루의 서손인 優台와

   졸본 사람 연타취발의 딸 召西奴 사이에 태 어난 차남인데, 어머니가 주몽과 재혼). 주몽의 첫째부인에게서 난 아들 유리가 주몽을 찾아와

   고구려 태자가 되자, 형 비류와 함께 남하하여 비류는 미추홀에 정착하고 온조는 하남위례성에 도읍을 정하고 열 명 신하의 보필을 받아

   십제(十濟)라는 나라를 건국, 부여(扶餘)를 성씨로 삼았다. 그 후 비류세력까지 흡수하여 국호를 백제로 고쳤다.

▷말갈족 침입 격퇴 - 온조3년

▷낙랑에 사신파견 수교 - 온조4년

▷말갈족 침입 격퇴 - 온조8년, 10년

▷마한 왕에게 조공 - 몸소 사냥한 사슴 한 마리

▷낙랑국경에 마수성(馬首城) 축조, 병산책(甁山柵) 세움 - 온조11년

▷왕의 어머니 소서노 61세로 사망 - 온조13년

▷북쪽 말갈, 동쪽 낙랑의 잦은 침입으로 천도 - 마한에 사신 파견하여 천도사실 알림

▷국경 - 동쪽(낙랑)은 주양(走壤), 북쪽(말갈)은 패하(浿河), 남쪽(마한)은 웅천(熊川)

▷낙랑 위례성 침입 - 온조17년

▷말갈족 칠중하 침입 격퇴 - 추장 소모(素牟)를 잡아 마한 왕에게 보냄 - 온조18년

▷말갈족 침입 격퇴 - 온조 22년

▷온조가 세운 웅천책에 대하여 마한 왕이 사신파견 항의 - 성책을 헐음 - 온조24년

▷마한 공격하여 도읍 함락 - 온조26년

▷마한의 옛 장수 주근(周勤)의 우곡성(牛谷城) 반란 - 온조왕 참전하여 토벌 - 온조34년

▷말갈족 술천성, 부현성 침입

 

다루왕 [多婁王] - 2대. 49년(28~77년)

▷온조의 장남

▷말갈족과 잦은 전투 - 다루왕3년, 4년, 7년, 28년

▷신라와 잦은 국경(蛙山城) 충돌 - 다루왕37년, 39년, 43년, 47년, 49년

 

기루왕 [己婁王] - 3대. 51년(77~128년)

▷다루왕의 장남

▷천문지변, 지진, 가뭄, 태풍, 기상이변 - 한강에 두 마리 용 나타남(기루왕21년)

   극심한 가뭄으로 백성들끼리 잡아먹음(기루왕32년)

 

개루왕 [蓋婁王] - 4대. 38년(128~166년)

▷기루왕의 아들

▷북한산성(중흥동고성?) 축조

▷신라의 모반자 길선(吉宣)의 송환문제로 신라와 충돌

 

초고왕 [肖古王] - 5대. 48년(166~214년)

▷개루왕의 아들, 별명 소고왕(素古王)

▷백제의 실질적 건국시조 역할 추정

▷신라 모산성 공격 - 초고왕23년

▷신라 원산향(예천) 공격, 추격군을 와산(보은)에서 격파 - 초고왕25년

▷신라 요차성(상주) 함락 - 초고왕38년

▷치우기(蚩尤旗 - 꼬리별) 보임 - 초고왕26년, 치우기는 전쟁을 상징

▷황(蝗 - 누런 곤충, 메뚜기?), 피해 발생 - 초고왕43년, 46년 8월

 

구수왕 [仇首王] - 6대. 20년(214~234년)

▷초고왕의 장남. 별명 귀수왕(貴須王)

▷키 2m 넘는 거구로 위엄과 용기가 빼어남

▷말갈족, 신라와 빈번한 싸움 - 신라에 번번이 패배

▷극심한 가뭄과 기근

 

사반왕 [사반왕] - 7대. 0년(234~234년)

▷구수왕의 장남

▷어려서 정사를 돌볼 수 없다는 이유로 곧바로 폐위

 

고이왕[古爾王] - 8대. 52년(234~286년)

▷개루왕의 차남(?-후손)

▷진충(眞忠)을 좌장(左將)으로 임명 - 병권 직접 관할

▷중알집권제인 6좌평 16관등제 시행

▷범장지법(犯臟之法) 시행 - 부정부패방지법

▷남쪽 평야지대 논 개간사업

▷낙랑 변경 공격/진충 - 다수의 포로를 잡았으나 되돌려 보냄

 

책계왕 [責稽王] - 9대. 12년(286~298년)

▷고이왕 아들, 대방태수의 딸 보과(寶菓)와 결혼

▷위례성 수리

▷고구려 침공 - 대방태수의 요청이었으나 이후 고구려와 원수지간 됨

▷동명묘 참배

▷한나라와 맥인 들의 연합공격으로 전사

 

분서왕 [汾西王] - 10대. 6년(298~304년)

▷책계왕의 장남

▷낙랑군 서쪽 현 공격, 점령

▷낙랑이 보낸 자객에 피살

 

비류왕 [比流王] - 11대. 40년(304~344년)

▷구수왕의 차남(?-후손), 사반왕의 아우(?)

▷분서왕 아들이 어려서 신하들의 권유로 즉위

▷병관좌평에 해구(解仇) 임명

▷사회 최하층 백성 구휼정책 시행 - 과부. 홀아비. 고아 등

▷내신좌평 우복(優福)의 반란 - 우복은 비류왕 이복동생

▷신라와 화친정책 - 신라에서 사신 파견

 

계왕 [契王] - 12대. 2년(344~346년)

▷분서왕의 장남 - 비류왕과 다른 계파(?) 추정

▷해(解)씨 계파와의 정권교체 또는 국내외 정세에 의해 조기 폐위(?)

 

근초고왕 [近肖古王] - 13대. 29년(346~375년)

▷비류왕의 차남

▷왕권강화에 주력 - 초고왕계의 계승권을 확고히 함(近초고왕 왕명)

▷신라와 동진(東晋)과의 친선강화 - 사신 파견

▷고구려의 침입, 격퇴 - 근초고왕24년, 26년

▷고구려의 평양 침공, 철수 - 고구려 고국원왕 전사

▷위례성에서 한산으로 천도(?)

▷요서에 백제군 설치 - 중국이 북방민족의 침입으로 분열된 시기

▷왜왕에 칠지도(七支刀) 하사 - 이소노가미 신궁에 보관 중

▷해상무역활동 활발히 전개 - 요서에 무역기지 설치

▷왕인(王仁) 박사와 아직기(阿直岐) 일본 파견 - [천자문]과 [논어] 전함

▷[서기]라는 국사책 편찬/고흥(高興)

 

근구수왕 [近仇首王] - 14대. 9년(375~384년)

▷근초고왕의 아들. 별명 귀수(貴須), 귀수(貴首), 근귀수(近貴首)

▷태자 때부터 대외정복사업에 적극 활동 - 남하하는 고구려와 힘의 균형유지

▷내신좌평 진고도(眞高道)에 정사위임 - 왕의 장인

 

침류왕 [枕流王] - 15대. 1년(384~385년)

▷근구수왕의 장남

▷불교를 처음으로 공인 - 인도 승려 마라난타(摩羅難陀) 동진에서 건너옴

▷한산에 불교사찰 건립 - 10명의 승려 출가시킴

▷불교를 받아드린 다음해 갑자기 왕 사망 - 불교신앙의 충돌로 지배층 다툼(?) 추정

 

진사왕 [辰斯王] - 16대. 7년(385~392년)

▷근구수왕의 차남, 침류왕의 아우

▷태자가 어려서 숙부가 즉위

▷서북부 고구려 경계에 축성공사 - 청목령~팔곤성, 서쪽은 바다까지

▷광개토왕 4만대군 침입 - 한강북쪽 10개성, 관미성 함락

▷구원(狗原) 행궁에서 왕 사망

 

아신왕 [阿莘王] - 17대. 13년(392~405년)

▷침류왕의 장남, 별명 아방왕(阿芳王), 아화왕(阿花王)

▷광개토왕의 대대적 침입과 패전 - 아신왕 항복(광개토왕 비문)

▷왜에 구원요청 - 전지태자를 볼모로 보냄

▷대규모 병마를 징집, 고구려공격 준비 - 많은 백성들 신라로 도망

 

전지왕 [腆支王] - 18대. 15년(405~420년)

▷아신왕의 장남, 왕비는 解씨 집안 여자. 별칭 직지(直支), 영(映)

▷아신왕의 동생 훈해(訓解) 가 잠시 섭정 - 전지왕 일본에서 귀국전

▷아우 설례(碟禮) 형 훈해를 살해하고 잠시 왕 노릇 - 해씨 세력이 설례 죽임

▷전지왕 일본에서 귀국, 설례 제거 이후 즉위

▷해씨세력 부상 - 단솔에 해충, 병관좌평에 해구(解丘) 임명

▷상좌평에 이복동생 신(信) 임명 - 외척세력 견제, 균형 정책

▷동진과 일본과 긴밀한 우호관계

 

구이신왕 [久爾辛王] - 19대. 7년(420~427년). 22세

▷전지왕의 장남, 어머니는 일본왕족으로 추정되는 팔수부인(八須夫人)

▷왕이 어려서 목만치(木滿致)가 전횡하며 왕모와 간통하다 일본에 소환 당함 - 일본서기

▷송과 외교 강화 - 사신 파견, 진동대장군 칭호 받음 - 삼국사기 이외 사서

 

비유왕 [毘有王] - 20대. 28년(427~455년)

▷구이신왕의 장남(?-전지왕의 차남)

▷송과 동맹정책 강화 - 사신파견, 진동장군 백제왕 작호

▷일본과의 동맹유지

▷나제동맹 - 신라의 눌지마립간과 동맹 맺음 - 고구려의 남진저지 정책

▷한강에 흑룡이 나타나자 왕이 죽음

 

개로왕 [蓋鹵王] - 21대. 20년(455~475년)

▷비유왕의 장남. 속명 경사(慶司)

▷14년간 [백제본기]에 기록 전무 - 정변(?) 추정

▷왕권강화 - 궁궐축조 등. 귀족세력의 반발 유발

▷고구려침입 대비 - 쌍현성과 청목령 강화, 북한산성에 군대증강, 북위에 구원병 요청

▷방치된(?) 비유왕 유골을 즉위 21년 만에 수습, 장사지냄

▷장수왕 3만대군 침입 - 한성 함락, 아단성(아차산)에서 옛 부하장수에게 살해됨

▷승려간첩 도림 이야기 - 바둑으로 개로왕에 신임, 화려한 궁궐축조 등 국력소모 유도

▷도미부인 이야기 - 민심이반을 일으키는 일화

 

문주왕 [文周王] - 22대. 2년(475~477년)

▷개로왕의 장남(?-비유왕의 차남)

▷왕자 때 상좌평 직위

▷웅진으로 천도 - 고구려 침입 때 피난처

▷지배층 내부갈등 심화 - 왕족 부여씨, 귀족세력 해씨, 진씨 對 마한계 사택씨, 연씨

▷정권실세 병관좌평 해구가 보낸 자객이 왕 암살

 

삼근왕 [三斤王] - 23대. 2년(477~479년). 14세 사망

▷문주왕의 장남, 별명 三乞王, 壬乞王. 12세 즉위

▷해구가 정권장악 - 왕은 허수아비

▷해구의 대두성 반란/恩率, 燕信과 공모 - 진씨세력이 토벌/眞老

▷반란 이듬해 갑자기 왕 사망 - 진씨 세력의 변란(?) 추정

 

동성왕 [東城王] - 24대. 22년(479~501년)

▷문주왕의 동생 곤지의 차남, 개로왕의 손자, 별명 모대

▷진씨 세력이 왕으로 옹립

▷금강유역의 신진세력 중앙귀족으로 흡수 - 사씨, 연씨, 백(苩)씨

▷신라와 혼인동맹 - 신라 이찬 비지의 딸을 왕비로 맞음

▷대중국외교 강화 - 남제에 사신파견

▷웅진재건 - 궁궐재건, 羅城, 牛頭城, 沙峴城, 耳山城 축조

▷탐라국 정벌 - 조공거절 이유로 무진주(광주) 정벌

▷백가세력이 사비원(부여)에서 사냥하는 왕을 암살 - 왕실기반확대에 저항

 

무령왕 [武寧王] - 25대. 22년(501~523년). 61세 사망

▷동성왕의 차남(?-개로왕의 아들). 이름은 사마(斯麻), 융(隆). 39세 즉위

▷백가를 한솔(汗率) 해명(解明)이 토벌

▷고구려. 말갈의 침입, 격퇴 - 즉위3년, 6년, 7년, 12년

▷고구려. 말갈 침입대비 축성 - 장령성, 쌍현성

▷중국 남조 양나라와 외교 강화 - 사신파견

▷일본과 우호관계 - 오경박사 파견

▷민생구제 - 즉위6년 대흉년에 창고의 곡식을 풀어 구제

▷농업생산력 제고 - 제방축조, 유랑자 귀향조치, 철농기구와 중국 화남벼농사법 도입

 

성왕 [聖王] - 26대. 31년(523~554년)

▷무령왕의 아들. 이름은 명농(明襛), 明, 별명 明王, 聖明王

▷백제의 중흥기간 - 지식이 영매하고 결단력이 있어 백성들이 성왕이라 칭함

▷사비성으로 천도 - 왕권과 국력강화책의 마무리 작업. 사비 토착세력 사씨의 지지

▷국호를 남부여로 잠시 변경

▷양나라와 교류확대 - 장인, 화가 등 초빙

▷인도의 범어불경을 들여온 겸익(謙益)을 환대하고 고승을 모아 불경번역사업 전개

▷일본에 문화전수 - 불교사상 전파. 의학박사, 역학박사 파견

▷중앙관제 정비 - 16관등제와 22부제 확립

▷지방통치조직 정비 - 5방(동. 서. 남. 북. 중방) 밑에 7~10개 군을 둠

▷신라와 동맹 강화

▷고구려 공격/신라. 가야와 연합 - 한강하류 6군 회복, 신라는 상류 차지

▷신라 진흥왕의 배반, 침입 - 한강하류를 빼앗김

▷신라 공격/가야 도움 - 관산성전투 대패, 왕과 3만 명 전사

 

위덕왕 [威德王] - 27대. 44년(554~598년).73세 사망

▷성왕의 장남. 이름은 昌. 29세 즉위

▷태자 때 성왕을 도와 신라정벌에 앞장

▷패전책임추궁으로 귀족중심의 정치운영체제로 회귀

▷고구려군 웅천성 침입, 격퇴

▷신라 국경을 꾸준히 공격하여 괴롭힘

▷중국 남북조 여러 나라와 외교 - 북제로부터 백제왕 책봉. 수나라에 통일경축사절 파견

 

혜왕 [惠王] - 28대. 1년(598~599년)

▷성왕의 차남. 이름은 계(季). 별명 헌황(獻王)

▷국력이 약해지는 시기 - 황해연안의 무역기지 타격, 해산활동 축소 등

▷위덕왕의 아좌태자를 제거하고 왕 즉위 - 70 넘은 노인으로 병사 - 일본서기

 

법왕 [法王] - 29대. 1년(599~600년)

▷혜왕의 장남. 이름은 선(宣), 효순(孝順)

▷살생금지령 - 민가의 사냥매 놓아주게 함. 고기잡이 기구, 사냥기구 압수

▷왕흥사(王興寺) 창건 - 호국불교 정책

▷아좌태자 세력에 제거(?) 추정

 

무왕 [武王] - 30대. 41년(600~641년)

▷법왕의 아들(?-위덕왕의 아들). 이름은 武康, 獻丙, 일기사덕(一耆篩德)

▷백제를 다시 일으킨 왕

▷즉위 2년 만에 혜왕 법왕 사망 - 권력투쟁으로 정변(?) 추정

▷대외정복사업 전개 - 빈번한 신라침공과 승승장구

▷국내정치 안정화와 국제외교 능동적 대처

▷대규모 토목사업 - 사비궁 중수, 인공호수와 가산(假山)공사, 왕흥사 완공

▷백마강 대왕포(大王浦)에서 신하들과 흥겨운 가무 - 태평성세

▷익산에 별도(別都) 설치, 천도계획 -王宮坪城 축조, 帝釋寺 창건, 彌勒寺 창건

▷서동요 이야기 - 서동은 익산 오금산에서 마를 캐어 생업을 삼다가, 신라 선화공주를 아내로 얻고 황금을 캐 명성을 얻어 왕위에 오름

   - 주인공이 무왕(?)

 

의자왕 [義慈王] - 31대. 19년(641~660년)

▷무왕의 장남

▷왕권강화 정책 - 친인척 4명, 내좌평 기미 등 40여 명을 섬으로 추방

▷친고구려정책으로 전환

▷신라 미추성 등 40개성 함락, 대야성(합천) 함락, 당항성(화성 서신면) 공격 - 즉위2년

▷신라 서쪽 7개성 함락 - 즉위5년

▷신라 북쪽 30개성 공격/고구려. 말갈과 연합 - 즉위15년

▷사치와 방종으로 국력소모

▷통치질서 붕괴 - 귀족들 권력투쟁, 君大夫人의 권력 장악

▷나당연합군 침입, 멸망 - 왕과 왕자 13명 및 고관 88명, 백성 12,000여 명 당나라 압송

▷의자왕은 압송 즉시 병사

▷황산벌전투와 계백장군 - 김유신 : 계백

 

▷백제부흥운동 - 흑치상지(黑齒常之), 복신(福神), 도침(道琛), 부여풍(夫餘風)이 임존성(任 存城-예산)과 주류성(周留城-부안?)을

   근거로 항전

 

▲백제왕조 678년 존속 - 임금별 평균 21.9년 재위

 

*참고자료: 한권으로 읽는 삼국왕조실록/ 임병주 지음/들녘, 한권으로 읽는 백제왕조실록/박영규 지음/웅진닷컴

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     < 삼국시대 영토 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