역사 공부하기

[국사]고려왕조실록 간단정리

관악산☆ 2010. 1. 29. 09:36

고려왕조실록은 애석하게도 전란으로 소실되었다. 따라서 참고한 책의 저자는 "고려사"와 "고려사절요"

및 고려사 관련 연구서들을 참고하여 "고려왕조실록"의 복원을 모색하였다고 한다.

다음은 고려왕조 계보와 약사를 참고한 책 위주로 간단히 정리해본 것이다. 

 

1.고려왕조(高麗王朝) 歷代임금 한 표에 보기

廟 號

이 름

在位時期

期間

春秋

王后

子 女

   系   譜

1

太祖

建 건

917~943

25

66

29

25

9

왕륭(부인/한)

2

惠宗

武 무

943~945

2

33

4

2

3

태조(장화왕후/오) 1남

3

定宗

堯 요

945~949

4

26

3

1

1

태조(신명순성왕후/유) 3남

4

光宗

昭 소

949~975

26

50

2

2

2

태조(신명순성왕후/유) 4남

5

景宗

伷 주

975~981

6

26

5

1

.

광종(대목왕후/황보) 1남

6

成宗

治 치

981~997

16

37

3

.

2

태조7남 대종의 2남

7

穆宗

訟 송

997~1009

12

29

1

.

.

경종(헌애왕후/황보) 1남

8

顯宗

詢 순

1009~1031

22

39

13

5

8

태조8남 안종의 1남

9

德宗

欽 흠

1031~1034

3

18

5

.

2

현종(원성왕후/김) 1남

10

靖宗

亨 형

1034~1046

12

28

5

4

1

현종(원성왕후/김) 2남

11

文宗

徽 휘

1046~1083

37

64

5

13

2

현종(원혜왕후/김) 3남

12

順宗

勳 훈

1083~1083

3/12

36

3

.

.

문종(인예왕후/이) 1남

13

宣宗

運 운

1083~1094

11

45

3

4

3

문종(인예왕후/이) 2남

14

獻宗

昱 욱

1094~1095

1

13

.

.

.

선종(사숙왕후/이) 1남

15

肅宗

顒 옹

1095~1105

10

51

1

7

4

문종(인예왕후/이) 3남

16

睿宗

俁 우

1105~1122

17

43

4

1

2

숙종(명의왕후/유) 1남

17

仁宗

楷 해

1122~1146

24

37

4

5

4

예종(순덕왕후/이) 1남

18

毅宗

晛 현

1146~1170

24

46

2

1

3

인종(공예왕후/임) 1남

19

明宗

晧 호

1170~1197

27

71

1+?

8

2

인종(공예왕후/임) 3남

20

神宗

晫 탁

1197~1204

7

60

1

2

2

인종(공예왕후/임) 5남

21

熙宗

韺 영

1204~1211

7

56

1

5

5

신종(선정왕후/김) 1남

22

康宗

 

1211~1213

2

61

2

1

1

명종(의정왕후/김) 1남

23

高宗

瞮 철

1213~1259

46

67

1

2

1

강종(원덕왕후/유) 1남

24

元宗

 

1259~1274

15

55

2

3

2

고종(안혜왕후/유) 1남

25

忠烈王

昛 거

1274~1308

34

72

4

3

2

원종(정순왕후/김) 1남

26

忠宣王

璋 장

1308~1313

5

50

7

3

.

충렬왕(장목왕후/몽고) 1남

27

忠肅王

卍 만

1313~1339

26

45

5

3

.

충선왕(의비/몽고) 2남

28

忠惠王

禎 정

1339~1344

5

29

4

3

1

충숙왕(공원왕후/홍) 1남

29

忠穆王

昕 흔

1344~1348

4

11

.

.

.

충혜왕(정순숙의공주/몽고) 1남

30

忠定王

  胝 저

1349~1351

2

14

.

.

.

충혜왕(희비/윤) 2남

31

恭愍王

  顓 전

1351~1374

23

44

6

1

.

충숙왕(공원왕후/홍) 2남

32

禑王

禑 우

1374~1388

14

24

9

1

.

공민왕(반야/?) 1남

33

昌王

昌 창

1388~1389

1

9

.

.

.

우왕(근비/이) 1남

34

恭讓王

瑤 요

1389~1392

3

49

1

1

3

신종 7대손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(475년)      (13.9)  (41.3)

 

 

2.고려왕조실록(高麗王朝實錄) 간단정리

 

태조 [太祖] - 1대 25년

▷태봉 궁예 때 왕창근 상인의 古鏡文: 궁예가 멸하고 왕건이 일어난다는 암시

▷홍유 배현경 신숭겸 복지겸과 모반하여 궁예를 제거하고 高麗 建國

▷한반도 최초의 자주적 민족통일국가 수립 - 유금필의 대활약. 경순왕 견훤의 투항

▷호족연합체국가 운영 - 호족들과 정략결혼

▷崇佛 정책 - 국교 불교

▷평양성 복원

▷訓要十條 유훈

 

혜종 [惠宗] - 2대 2년

▷어머니 오씨의 한미한 가문출신 이유로 힘겹게 왕위 계승했으나 병으로 요절

 

정종 [定宗] - 3대 4년

▷충주 유씨 세력이 개경파를 제거하고 무력으로 왕위 계승

▷무리하게 서경천도를 추진하다가 병으로 요절하여 무산됨

 

광종 [光宗] - 4대 26년

▷왕권 강화 - 중앙집권화로 호족세력 약화

▷당나라의 “貞觀政要” 숙독과 활용

▷불교종파 융합책

▷후주 출신 쌍기 중용 - 개혁정책의 주역

▷奴婢安檢法 시행과 科擧制度 도입 - 우리나라 최초

▷공복(관복) 제정 - 신라관복에서 지위에 따른 색깔 구분된 관복으로 변경

▷무자비한 공포정치와 호족들 숙청

▷족내혼 - 태조의 이복 여동생과 결혼 - 왕실 혈통 유지책(신라 왕족 풍습)

 

경종 [景宗] - 5대 6년

▷전시과(田柴科)로 토지제도 개혁

▷병으로 요절

 

성종 [成宗] - 6대 16년

▷崇儒抑佛 정책

▷최승로의 “시무 28조” 채택

▷10道12牧 제도로 중앙집권체제 완성

▷강동 6주 편입 - 거란의 1차 침입 때 서희의 담판

▷노비안검법 폐지. 노비환천법 실시

▷鄕校의 전통 시작

 

목종 [穆宗] - 7대 12년

▷동성연애자. 나약한 정치

▷강조의 반란으로 살해됨

 

현종 [顯宗] - 8대 22년

▷거란침입 극복과 국력신장

▷태조8남 안종과 경종 제4비 헌정왕후와 불륜의 씨앗으로 출생

▷거란의 2차 침입과 나주 몽진 - 용장 양규의 활약으로 격퇴

▷거란의 3차 침입과 강감찬의 구주대첩 승리 - 국력 신장 계기

▷최초로 7대왕실록 편찬 - 덕종 때 완성

 

덕종 [德宗] - 9대 3년

▷국자감에 시험제도 도입으로 인재등용 혁신

▷병으로 요절

 

정종 [靖宗] - 10대 12년

▷거란과 외교 정상화와 거란 연호 다시 사용

▷천리장성 완성

▷奴婢從母法 제정. 장자상속법 제정

▷병으로 요절

 

문종 [文宗] - 11대 37년

▷성군으로 고려의 최고 황금기

▷법제도 확립

▷송과 국교수립

▷불교 융성책과 흥왕사 창건

▷대각국사 의천(문종 4남) 천태종 창시

▷족내혼 - 이복여동생 현종의 딸과 결혼

▷동방의 공자 최충 - 최초의 私學 구재학당 설립. 유학열풍 일으킴

▷문종의 오른팔 이자연 - 불교 융성과 송과의 국교수립에 기여. 3딸이 문종 왕비

 

순종 [順宗] - 12대 0.3년

▷즉위 3개월 만에 병으로 임종

 

선종 [宣宗] - 13대 11년

▷중립외교 정착 - 송과 거란을 종주국으로 인정

▷거란의 압록강 각장(榷場)설치계획 철회 관철

▷불교 유교의 균형적 발전

▷거란 송 여진 일본과 교역 확대

▷최초로 승과 설치 - 승려의 관직 진출

▷국자감에 공자 제자 72현 상 그림 모심

 

헌종 [獻宗] - 14대 1년

▷11세 즉위로 사숙태후가 섭정

▷왕희세력의 왕권장악 - 이자의 세력을 무력진압

▷숙부 왕희에게 자진 선위 - 사실상 찬탈

▷소갈증으로 요절

 

숙종 [肅宗] - 15대 10년

▷여진과 국교수립. 여진과의 전쟁 및 화의조약 - 윤관

▷6촌 이내 금혼령

▷최초로 해동통보 통용

▷국자감에 서적포 설치

▷유학과 불교 진흥책

▷남경(한성)에 궁궐 완성

▷고구려 동명왕묘역 제사 후 귀경길에 객사

 

예종 [睿宗] - 16대 17년

▷여진의 동북9성 침공 후 반환 - 윤관

▷내원성과 포주성(의주) 탈환 - 압록강까지 영토 확장

▷거란의 여진정벌 강권에도 거절 - 중립외교

▷문화정책 강화 - 관학진흥. 청연각 보문각 설립. 아악 도입. 양현고 설치

▷민심 안정책 - 지방에 감사 파견. 모든 감옥 비우기. 혜민국 설치. 예의상정소 설치

▷시문학 즐김 - 자칭 시인

▷족내혼 -사촌인 선종의 딸과 결혼

 

인종 [仁宗] - 17대 24년

▷왕보의 역모 사건 - 이자겸의 외척세력이 왕보와 한안인의 관료세력을 역모로 몰아 타도

▷이자겸의 난 - 이자겸을 제거하려던 왕이 연금 살해될 뻔했으나, 최준경이 이자겸을 제거

▷묘청의 난 - 서경천도를 주장하던 묘청이 서경에서 반란, 김부식의 개경세력이 진압

▷삼국사기 편찬 - 김부식

▷족내혼 - 이모인 이자겸의 두 딸과 결혼

 

의종 [毅宗] - 18대 24년

▷환관정치 - 근위세력형성을 위한 환관과 내시 중용. 무신 멸시

▷정사 소홀 - 연회 등 유희에 몰두

▷정중부의 난 - 무신들이 문신들을 도륙하고 의종은 추방 후 의종 아우 왕호를 옹립

▷이의민에 의해 살해당함

 

명종 [明宗] - 19대 27년

▷허수아비 임금. 무신들의 정권다툼

▷김보당의 난 - 의종복위 목적 - 이의민이 평정, 의종 살해

▷조위총(서경유수)의 난 - 정중부 이의방 제거 목적

▷망이 소이의 난 - 공주 천민집단 명학소에서 봉기

▷효심과 김사미의 난 - 운문(청도) 초전(울산)에서 농민들이 봉기

▷무신권력 이동: 정중부 이고 이의방 ->이의방 -> 정중부 ->경대승 ->이의민 ->최충헌

▷최충헌이 명종을 내쫓고 아우 왕민을 왕으로 세움

 

신종 [神宗] - 20대 7년

▷늙은 왕. 최씨 무신정권의 장기집권 시작

▷최충헌의 전횡. 공포정치 - 왕은 허수아비

▷전국적인 민란 등 고려 건국 후 최악 상태

 

희종 [熙宗] - 21대 7년

▷왕권회복을 위한 최충헌 제거 시도

▷왕준명 등이 최충헌 제거 시도했으나 실패 - 최충헌 전횡 지속

▷최충헌이 희종을 강화도. 자란도에 유배. 명종의 아들 왕정을 왕으로 세움

 

강종 [康宗] - 22대 2년

▷노약하여 정사를 교정도감(최충헌이 별감)에 일임

 

고종 [高宗] - 23대 46년

▷계속되는 변란과 대몽항쟁 - 28년간 7차례의 몽고군 침입

▷거란 침입에 몽고 동진 금과 연합하여 격퇴 - 몽고와는 형제지국 관계 수립

▷최충헌이 죽고 아들 최이가 정권장악 - 왕은 허수아비

▷몽고사신 착고 살해사건으로 국교단절

▷1차 침입 - 화의조약, 40개성 총독잔류

▷강화도 천도

▷2차 침입 - 경상도까지 진출, 수원 처인성에서 살리타 원수 사살되자 철군

▷3차 침입 - 전 국토 유린, 화의 철군, 8만대장경 조판하면서 항전

▷4차 침입 - 몽고 왕 사망으로 철군

▷집정 최이가 죽고 아들 최항이 승계

▷5차 침입 - 출육환도(出陸還都) 요구. 수용약속과 사신접견으로 철군

▷6차 침입 - 출육환도 불이행 보복으로 20만 고려인 살육, 출육환도 약속으로 철군

▷집정 최항이 죽고 아들 최의가 승계 - 최씨 무신정권 붕괴

▷7차 침입 - 출육환도. 태자 입조. 화의로 전쟁 종결

▷족내혼 - 6촌인 희종의 딸과 결혼

▷8만대장경 - 부처의 힘으로 외적을 물리치려고 최이가 시작

 

원종 [元宗] - 24대 15년

▷친원정책과 무신정권 종식

▷원나라에 친조

▷김준(김인준)세력 제거 - 임연에게 시킴

▷임연이 원종 폐위시키나 몽고에 의해 복위

▷개경환도와 친몽정권 - 무신정권 종식

▷삼별초의 난 - 배몽 무인세력이 강화도 제주도 서남해안에 거점, 여몽 연합군이 토벌

▷원나라에 공녀(貢女) 보냄

 

충렬왕 [忠烈王] - 25대 34년

▷원의 부마국으로 전락 - 원 세조 딸과 결혼. 변발 호복(되옷)

▷여몽연합군 일본 대마도 정벌

▷내안의 합단군 침입 - 강화도 천도. 원의 도움으로 종전

▷몽고군이 점령한 탐라국 반환 - 제주도로 개명

▷원의 복속정책 강화 - 행정관제 격하. 묘호 祖 宗 금지->忠( )王 으로 의무화.

▷일연의 삼국유사

▷정사 외면 - 잦은 사냥과 패행. 장목왕후와 불화

▷세자: 元의 진왕 딸과 결혼. 모후(장목왕후) 사망하자 왕의 애첩 궁인 무비일당 제거

▷7개월간 충선왕에게 선위, 다시 복위

▷충신왕 제거음모 실패 후 충선왕이 실권 차지

 

충선왕 [忠宣王] - 26대 5년

▷전지(傳旨)정치 - 숙부 왕숙에게 전권 대행

▷충렬왕 때 7개월간 왕위 ->폐위 - 계국공주와 불화

▷주로 연경에 머무르며 심양왕에도 봉해짐 - 세자 감을 역모혐의로 죽임

▷충열왕 부인 숙비 김씨를 부왕 사후에 부인으로 맞음 - 몽고 풍속

▷연경에서 생을 마감

 

충숙왕 [忠肅王] - 27대 26년

▷상왕 충선왕의 간섭과 원의 불신 - 향락과 행패로 3년간 원에 소환

▷충선왕이 세자로 세운 왕고의 왕위찬탈 음모 - 왕고의 무고로 3년간 연경 소환

▷병약하여 충혜왕에게 선위. 2년 후 복위

▷원의 세공(稅貢)삭감. 공녀와 환관 징발 중지 청원

▷부인 5명 중 몽골녀 3명

 

충혜왕 [忠惠王] - 28대 5년

▷희대의 패륜아로 고려왕실의 위기

▷부왕의 후비 수비 권씨와 숙공휘령공주를 강간 - 패정으로 연경 소환

▷연회. 사냥. 수박희. 재물 갈취. 강간. 열약 남용 등 패륜아

▷궁전 신축

▷원에 소환 ->귀양 ->독살

 

충목왕 [忠穆王] - 29대 4년

▷어린 왕(7살)으로 덕녕공주의 섭정

▷신축궁전을 헐고 숭문관 건립

▷충렬왕 충선왕 충숙왕 등 3대 실록 편찬

▷병으로 요절

 

충정왕 [忠定王] - 30대 2년

▷모후 윤씨와 덕녕공주의 세력다툼

▷왜구의 준동 - 경상도 전라도 양광도 - 조정의 속수무책

▷원에서 충정왕 폐위, 유배 - 강릉대군 왕기를 왕으로 세움

▷공민왕이 독살

 

공민왕 [恭愍王] - 31대 23년

▷배원주의와 개혁정책으로 국권회복 - 원의 식민지배 벗어남

▷12세부터 연경에서 생활

▷개혁교서 발표 - 토지와 노비문제 해결, 전민변정도감(신돈이 주도)

▷서연(書筵) 재개 정치토론장

▷조일신의 정변 - 잠시 성공 -> 평정

▷원 배척운동 - 변발호복 금지. 원 연호 폐지 등

▷기철의 역모 사건 - 여동생이 원나라 왕후임을 배경으로 세력화

▷불교중흥 - 보우 왕사 임명과 승직 권한대행

▷홍건적의 침입과 안동 몽진 -고려군 20만이 적장 사살, 격퇴 - 친원정책으로 변경 계기

▷김용의 난 - 공민왕은 태후 밀실에 숨어 죽음 모면

▷최유의 난 - 원 기황후의 보복. 원에서 체포 고려에 압송 - 최영이 평정

▷노국공주의 죽음(산고)과 왕의 절망감 - 신돈에 정권 일임하나 6년 만에 역모혐의로 처형

▷노국공주 사후의 정신병적 변태적 행태 - 동성연애. 행음. 왕비강간 명령

▷내시 최만생 일파에 살해됨 - 최만생 일파는 이인임 일파에 제거됨

▷개혁론자 이제현 - 백이정에게 성리학 수학. 충렬~공민왕 시대 최고의 지식인. 정치가

 

우왕 [禑王] - 32대 14년

▷모후 반야는 신돈의 여종 - 이인임이 임진강에 수장

▷북원이 우왕을 고려 국왕에 봉함 - 명과 북원 두 나라와 이중적 외교관계

▷왜구의 준동 - 최영 이성계 정몽주의 활약

▷요동정벌과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 - 최영 유배, 처형

▷우왕 폐위 - 강화도, 강릉 유배, 공양왕 때 사사

 

창왕 [昌王] - 33대 1년

▷조민수 이색 공민왕비 한씨의 도움으로 왕으로 옹립

▷이성계파의 정권 장악 - 폐가입진(廢假立眞)論 - 조준 정도전 정몽주

▷창왕 폐위 - 강화도 폐위, 강화도 유폐, 공양왕 때 살해

 

공양왕 [恭讓王] - 34대 3년

▷폐가입진 명분으로 신종 7대손 왕요를 왕으로 옹립

▷유교중심의 개혁 - 경연제. 무과 신설. 주자가례 시행. 사찰 재산 몰수. 科田法. 천도

▷이방원의 정몽주 살해(조영규) - 온건개혁파 축출

▷공양왕 폐위. 이성계 국왕 옹립(역성혁명) - 정비 안씨의 교지 받아냄

▷공양왕 원주, 간성, 삼척 유배, 사사

▷두문동 72현 - 杜門不出 유래

 

 *참고자료: 한권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/ 박영규지음/웅진씽크빅,  naver 백과사전

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    < 고려 영토 >